ChatGPT Pro 이미지 생성 모델 업데이트! 지브리, 데스노트, 귀멸의 칼날 스타일로 만화 생성하기

올해 3/25 새롭게 업데이트된 OpenAI chatGPT

기존 모델인 ‘달리(DALL-E)’는 이미지만 생성하는 기능에 그쳤지만,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결합할 수 있는 기능으로 스토리성있는 만화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는 것!

1컷~4컷 만화를 직접 생성을 요청하면, 참고할만한 이미지 없이도 쉽게 만화를 생성해준다.

심슨풍으로 세부 여행가는 여자 3명을 4컷으로 요청한 이미지

이번 버전이 여러 화두가 되었던 것은, 유명한 만화 제작사들의 작화 스타일들을 접목해서 그려준다는 것인데 퀄리티가 실제 제작사 만화에서 만드는 것과 같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좋기 때문에 오히려 각 제작사들의 저작권에 대한 논란도 같이 일고 있다.

그래서 요청한 프롬프트가 어떤지에 따라서 저작권 요청으로 인해 제작이 어렵다고 이야기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모델이 나온지 초반인 상태라 그렇게 제한은 없는 편인 것 같다. 미리 좀 경험해두면 좋을 것 같다.

ChatGPT 만화 이미지 생성,어디까지 가능할까

해당 기능은 유료 플랜인 plus 플랜부터 사용 가능하고, 별다른 앱 없이 바로 ChatGPT에 요청하면 된다

1. 실제 사진을 이미지로 변환하기

실제 사진을 첨부하여 바로 원하는 이미지 스타일을 말하면 변환하여 생성해준다

조카 사진을 지브리 스튜디오 스타일로 요청한 이미지

지브리 특유의 온화하고 따뜻한, 볼이 빵빵한 아기의 모습을 잘 구현해주었고 유모차를 보면 단순 사진을 변환한 느낌이 아닌 한땀 한땀 그린듯한 느낌까지 주었다.

가족 사진을 심슨풍으로 요청한 이미지

가족 사진은 역시 심슨풍으로 만들어야 제맛.

생각보다 사진에 있는 텍스트도 잘 추출해서 이미지에 반영해주고, 가족사진이나 지인 사진을 프로필에 게시하기 부담스러웠던 사람들이라면 유용하게 쓸 것 같다.

지브리나 심슨 스타일은 이미 유명한 작화 스타일이라서 여러가지를 시도해보았는데, 일본이나 한국에서 유명한 만화 스타일도 잘 반영해준다(살짝 소름)

진격의 거인 스타일료 요청한 이미지
슬램덩크 스타일로 요청한 증명사진

평소 애정하는 만화였다면 추출해준 이미지만 봐도 이 퀄리티가 얼마나 좋은건지 알 수 있을 듯

기본 작화 스타일을 반영해주는 AI 기반 미디어앱은 많았지만 이번에도 또 ChatGPT가 해내버렸구나 싶다.

2. 사진을 조합하여 만화로 만들기

사진을 그대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이 아닌, 사진을 토대로 새로운 만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2개의 이미지를 첨부하여 두 남녀의 만화를 요청한 이미지

위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가지고 교육시켜 아예 새로운 만화 컷을 만들수도 있다.

갑자기 온화해진 지브리 스타일

생성한 이미지에 대해서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그 안에서 표정이나 행동 들을 다시 지시하여 생성할 수 있다.

부산 이재모피자에서 찍은 사진을 만화 ‘요리왕비룡’ 스타일로 만들어달라고 했다.

요리왕 비룡 스타일로 변환한 이미지
좀더 기쁘고 기대에 찬 표정으로 변환한 이미지

생성한 이미지에 대한 교육, 편집까지 적용이 가능한데, 놀라운 것은 확대해서 보더라도 기존의 이미지 생성 모델과는 다르다는 느낌이 든다. 너무 실제적이라거나, 어색한 부분 없이 사람의 붓터치가 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 대한 표현 뿐만 아니라 강아지 등 동물 들의 모습에 대한 표현에도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었는데, 작화 스타일별로 인물들과 동물에 표정도 적용해주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던 ‘귀멸의 칼날’ 스타일의 강아지. 털 부분의 붓터치를 보면 수채화같고 블랙 푸들 특유의 바랜 색 털이 잘 표현되어있다. ‘픽사’ 이미지는 요청한 것도 아닌데 알아서 웃고 있는 모습이다.

귀멸의 칼날 버전으로 생성한 이미지
픽사 스타일로 생성한 이미지

반면 좀더 엄근진한 스타일의 ‘슬램덩크’ 작화와 ‘데스노트’ 작화

데스노트는 거의 당장 데스노트에 한 장면으로 수록해도 될 만큼 흑백 만화 한 씬 처럼 분위기까지 잘 녹여주었는데, 강아지의 표정까지 저런 무거운 표정을 해놓는게 폭소 포인트였다.

슬램덩크 스타일의 이미지
데스노트 스타일의 이미지

앞으로 이미지 생성 모델은 어떻게 활용될까

ChatGPT를 단순 업무나 학업 용도로만 쓰는 이용자들이 주였다면, 이제 이런 이미지 생성 모델을 통해 더 다양한 이용자군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동시에 만화업계에도 꽤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을까 예상되기도 한다. 일개 이용자이긴 해도 미술 경험을 가지고 있는 나로서는, 이렇게 작화에 대해 쉽게 교육하고 반영할 수 있는 이미지 모델이 오히려 작가들의 노동력을 엄청 절약해줄 수 있다고도 생각된다.

일단 기획자로 일하고 있는 나로서는 이런 프로토타입 모델의 이미지가 많이 필요한 편인데(임시 프로필 이미지를 만들어야한다거나) 이런 이미지 생성 기능이 유료 plus 플랜에 포함이 되어있으니 여러모로 잘 사용되고 있다. 심지어 생성하는데 드는 시간도 짧은 편이라 딱히 업무 중에도 방해를 받지 않는다.

이후 어떻게 쓰일가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변확라 있겠지만 우선 일반 업계 사용자들은 여러 사진과 추억을 다양한 스타일로 변환해보며 추억의 만화 작화들을 적용해보는 킬링타임용 기능으로 써도 좋을 것 같다.